7월, 2019의 게시물 표시

DPCW 10조38항 제8조

이미지
8조 종교의 자유 오늘은 DPCW  10조 38항 중 8조 ' 종교의 자유'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교의 자유란" 자기 가 원하는 종교를 자기가 원하는 방법으로 신앙할 자유를 말합니다. 그런데 세계 인구의 61%가 지금도 종교의 자유를 침해받고 있다고 합니다. 국제 가톨릭 원조 단체이며 교황청 재단인 고통받는 교회돕기 ACN은 지난 22일 로마에서 '세계 종교자유 보고서'를 공식적으로 발행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발표하였습니다. ACN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6월 부터 2018년 6월까지 기간동안 조사 대상 196개국 인구의 61%가 종교의 자유를 침해받고 있는데 10명 가운데 6명은 완전히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할 수 없다는 것이죠 이중 17개국에서 심각한 종교적 차별이 이루어졌으며, 21개국에서는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노골적인 박해가 벌어지고 있고, 종교 자유의 침해가 심각하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합다. 특히 중국과 인도, 북한, 사우디아라비아,예멘과 같은 나라는 사태가 심각할 정도입니다. 따라서 전 세계 5명의 그리스도인 가운데 1명은 종교적인 박해나 차별이 있는 국가에 살고있는 것입니다..ㅠ   십자가를 들고있는 인도 자르칸드주의 카톨릭 가정   전세계의 전쟁과 분쟁의 거의 80%가 종교적 갈등 에서 야기된다고 합니다. 지금도 세계 많은 나라들이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분쟁에 휘말리고 전쟁과 테러의 공포로 많은 민간인의 피해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지구촌의 전쟁을 멈춰야 하겠죠!! 종교로 인한 분쟁이든 이념의 갈등이든 전쟁은 사라져야 합니다. 전쟁을 끝낼수 있는 유일하고 확실한 답!...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DPCW) 제7조

이미지
자위권 이란 개인으로서 남에게 위해 ( 危害 ) 를 받을 때  자기 실력으로 막아 내는 권리 를 말합니다 .   외국으로부터의 급박하고 부정한 침해를 없애기 위하여  필요 · 최소한의 범위에서 방위하는 권리로  국제법상의 기본 권리 중 하나 입니다 .   " 국제법의 아버지 " 인   17 세기 네덜란드 휴고 그로티우스는   1625 년 전쟁과 평화의 법을 저술 , " 대부분의 사람들은 방어 ,   자국 소유물의 탈환 ,   처벌 등 세 가지의 경우에 전쟁권 (Jus ad bellum) 을 인정한다 ." 고 주장했다   제 1 차 세계대전 이후 부당한 국가침해에 대한 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전쟁의 합법성을 유보하기 위하여 특별히 일반화되었으며 , 1928 년의 켈로그 - 브리앙 조약에서도 합법적인 권리로 인정되었고 ,   유엔헌장에서도 허용되고 있다 .  ( 위키백과 자위권 ) 자위권 하면  자위대 가 제일 떠오르는건 ... 북한과의 외교적 문제가 있을 시 자위대에 대한 뉴스를 많이 들어서가 아닐까 싶네요 . 군국주의로 타국을 침략하며 많은 인명피해를 낸 일본이 자신의 나라를 지킨다는 명분으로  우리나라를 다시 침략하는 건 아닌지에 대한 걱정을 했죠 . 우리 정부의 동의 없이는 절대 일본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수 없다고 해도 정말 그럴까 ? 라는 생각을 했는데요 ~  <출처> 네이버 어린이백과 '왜 일본의 군대는 자위대인가요?   제 2 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연합군 총사령부는  새로 제정되는 일본 헌법에 역사상 유례가 없던 조항을 삽입했습니다 . 바로  ' 평화헌법 ' 이라 불리는  9 조 입니다 . 헌법  9 조는 두 가지 조문으로 구성되는데 1 항  " 일본국민은 정의와 질서를 기조로 하는 국제평화를 성실히 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