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조} 종교, 민족 정체성 그리고 평화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 DPCW 10조38항의 [제1조 무력위협 및 무력사용 금지]를
기재하기 시작하여 어느덧 [9조 종교, 민족 정체성 그리고 평화]를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
민족 정체성에 종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종교를 통해 평화는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생각해 보시겠습니까?~
기재하기 시작하여 어느덧 [9조 종교, 민족 정체성 그리고 평화]를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9조를 소개하기에 앞서
제1조 ~ 7조는 현재의 국제법의 개정을 하는 내용으로서 국가의 역할을 말하고 있습니다.제1조와 제2조는 전쟁무기를 생활무기로 만들어 전쟁없는 내일을 꿈꿀 수 있게 하며
제5조와 제7조가 지켜지면 휴전선은 없어지고 행복을 되찾게 됩니다.
그리고 제8조와 제9조는 종교의 자유 보호를 위한 법안으로서
제8조 종교의 자유
제9조 종교, 민족정체성 그리고 평화입니다.
마지막으로 제10조 국민 참여 권한을 부여 하는 [평화문화의 전파]입니다.
제10조에 관하여는 다음 시간에 소개하겠습니다.
제1조 ~ 7조는 현재의 국제법의 개정을 하는 내용으로서 국가의 역할을 말하고 있습니다.제1조와 제2조는 전쟁무기를 생활무기로 만들어 전쟁없는 내일을 꿈꿀 수 있게 하며
제5조와 제7조가 지켜지면 휴전선은 없어지고 행복을 되찾게 됩니다.
그리고 제8조와 제9조는 종교의 자유 보호를 위한 법안으로서
제8조 종교의 자유
제9조 종교, 민족정체성 그리고 평화입니다.
마지막으로 제10조 국민 참여 권한을 부여 하는 [평화문화의 전파]입니다.
제10조에 관하여는 다음 시간에 소개하겠습니다.
이처럼 이 법안은 전쟁종식 세계평화를 이룰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으로서
세계 전.현직 대통령과 정치인, 법률전문가들이 인정하고
국가선언문으로 채택하여 사인을 하고, 지지 및 촉구하고 있습니다.
국가선언문으로 채택하여 사인을 하고, 지지 및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 시간은 [제9조 종교, 민족 정체성 그리고 평화]를 살펴보겠습니다.
1항. 국가들은 평화에 위협이 되는, 종교 또는 인종으로 인한 대립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이 취해지도록, 관련 단체 간의 상호이해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수단을 취하고 다양한 종교나 인종 집단 간의 긴장을 유발하는 상황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자 협의에 동참해야 한다.
2항. 국가들은 종교적 신념 또는 민족 정체성이 집단적이고 광범위한 폭력행위(분쟁)의 구실로 이용되지 않도록 확실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개인 혹은 단체가 해당 종교의 이름으로 폭력행위(분쟁)를 저지르거나 가담하는 상황이라면, 국가들은 그러한 행위에 대한 기소(起訴) 및 처벌이 따르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항. 폭력적인 종교 극단주의가 평화공존을 위협할 수 있음을 인식하며, 국가들은 종교라는 미명 하에 집단적이고 광범위한 폭력행위(분쟁)를 저지르거나 가담하려고 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 법적 조치를 성실히 취해야 한다. 극단적인 경우 그러한 조치들은 일국(一國)의 영토보존 및 정치적 독립에 배치되는 폭력행위(분쟁)를 저지르는 신앙 단체(종파 혹은 숭배 집단 등)의 추방 및 폐쇄를 포함해야 한다.
2항. 국가들은 종교적 신념 또는 민족 정체성이 집단적이고 광범위한 폭력행위(분쟁)의 구실로 이용되지 않도록 확실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개인 혹은 단체가 해당 종교의 이름으로 폭력행위(분쟁)를 저지르거나 가담하는 상황이라면, 국가들은 그러한 행위에 대한 기소(起訴) 및 처벌이 따르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항. 폭력적인 종교 극단주의가 평화공존을 위협할 수 있음을 인식하며, 국가들은 종교라는 미명 하에 집단적이고 광범위한 폭력행위(분쟁)를 저지르거나 가담하려고 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 법적 조치를 성실히 취해야 한다. 극단적인 경우 그러한 조치들은 일국(一國)의 영토보존 및 정치적 독립에 배치되는 폭력행위(분쟁)를 저지르는 신앙 단체(종파 혹은 숭배 집단 등)의 추방 및 폐쇄를 포함해야 한다.
위의 항목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
민족 정체성에 종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종교를 통해 평화는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생각해 보시겠습니까?~
종교는 으뜸 종(宗), 가르칠 교(敎)
세부 한자를 보면 갓머리 하늘의 것을 열어서 보여주고
회초리를 쳐서 가르쳐 배우게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어서
하늘의 보이지 않는 신을 믿는 믿음을 통해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 의미를 찾게 하는 절대적 힘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종교는 개인에게는 삶에 지침이 되고 나의 사상이 되며
세부 한자를 보면 갓머리 하늘의 것을 열어서 보여주고
회초리를 쳐서 가르쳐 배우게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어서
하늘의 보이지 않는 신을 믿는 믿음을 통해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 의미를 찾게 하는 절대적 힘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종교는 개인에게는 삶에 지침이 되고 나의 사상이 되며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이바지 합니다.
국가적 차원의 종교는 바로 국가성이며 정체성이며 민족성으로 나타나게 합니다.
이렇게 형성되는 종교는 전 세계에 수많은 종파와 교리로 나타나면서
바로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국가적 차원의 종교는 바로 국가성이며 정체성이며 민족성으로 나타나게 합니다.
이렇게 형성되는 종교는 전 세계에 수많은 종파와 교리로 나타나면서
바로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제8조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전쟁의 80%가 종교전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일제 침략을 떠올려 볼까요?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사건 바로 창시개명도 모자라
조선 곳곳에 신사를 세운 뒤 조선인에게 참배하도록 강제한 정책을 기억하실겁니다.
바로 신사참배입니다.
신사참배는 신토의 신사에 참배하는 종교 의식으로서
종교의 교리가 신사참배와 충돌하는 기독교 신자들은 신사참배 강제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이에 저항하다가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사건 바로 창시개명도 모자라
조선 곳곳에 신사를 세운 뒤 조선인에게 참배하도록 강제한 정책을 기억하실겁니다.
바로 신사참배입니다.
신사참배는 신토의 신사에 참배하는 종교 의식으로서
종교의 교리가 신사참배와 충돌하는 기독교 신자들은 신사참배 강제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이에 저항하다가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오늘날은 자신의 종교가 아니면 배척하는 강제개종이라는 종교인들의 만행이 자행되어 사랑하는 자녀를 잃게 하고
결국 가정의 파탄을 불러 일으켜 가정의 평화는 없어졌습니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는 대한민국의 정서를 거스르는 행위로
평화 없는 가정은 국가의 평화도, 세계의 평화도 가져올 수 없습니다.
결국 가정의 파탄을 불러 일으켜 가정의 평화는 없어졌습니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는 대한민국의 정서를 거스르는 행위로
평화 없는 가정은 국가의 평화도, 세계의 평화도 가져올 수 없습니다.
올바른 종교 활동과 올바른 교리는
나 자신과 국가의 민족성을 지키고 평화를 지키게 하는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세계의 무수히 많은 종교는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종교인들은 한자리에 모여 화합하고
서로의 교리를 배우며 최고의 경서를 찾아 창조주의 참뜻으로 하나되어
전 세계의 평화를 이루고 후대의 유산으로 남겨야 할 것입니다.
나 자신과 국가의 민족성을 지키고 평화를 지키게 하는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세계의 무수히 많은 종교는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종교인들은 한자리에 모여 화합하고
서로의 교리를 배우며 최고의 경서를 찾아 창조주의 참뜻으로 하나되어
전 세계의 평화를 이루고 후대의 유산으로 남겨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모든 종교로인한 분쟁과 만행으로부터 국가의 민족성을 회복하고, 평화의 세상을 만들수 있게 하는 해답이 필요했습니다.
바로 10조38항 제8조와 제9조인것입니다.
바로 10조38항 제8조와 제9조인것입니다.
세계여성평화그룹 전세계회원들은
전세계대통령들이 DPCW를 국가선언문으로 인정하고,
UN에 상정되어 국제법으로서 가치를 갖게 되기를 지지하며 촉구하고 있습니다.
전세계대통령들이 DPCW를 국가선언문으로 인정하고,
UN에 상정되어 국제법으로서 가치를 갖게 되기를 지지하며 촉구하고 있습니다.
종교 때문에 정말, 전쟁이 너무 많았네요. 앞으로는 전쟁이 없어지고 종교적으로도 해결되기를 바래봅니다.
답글삭제전쟁의 80%가 종교였다는게 넘 놀라워요~ 종교가 하나되면 전쟁없는 평화가 되겠네요
답글삭제